기쁜 마음 신차를 샀다면 주변에서 길들이기를 부추깁니다. 신차 길들이기는 자동차의 성능을 안정화하는 작업이긴 하지만 신차의 경우 향후 자동차의 성능에 영향이 있기 때문에 최초 1000km는 급출발, 급가속, 급정거는 하지 말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후 6000km 이상 주행 후에 자동차는 안정적인 성능으로 길들여지기 때문에 안전운전 습관으로 마음 편하게 자동차를 사용하면 됩니다.
신차 길들이기 방법
무리하지 말고 정속주행 하기
꿈에 그리던 신차를 구했습니다. 감격스럽습니다.
이미 운전은 익숙합니다. 이것저것 하고 싶지만, 자동차도 신차는 갓 태어난 아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뭐, 사람처럼 연약하지는 않지만 부품들의 움직임이나 오일 등 새것은 언제나 깨끗하고 단단합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려면 신차도 길들이기가 필요합니다.
어떤 분은 장거리 한번 다녀오면 된다고 하고, 어떤 분은 그냥 천천히 합니다.
결과적으로 3급만 하지 않는다면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길들이기는 이루어집니다.
3급은 하지 말자.
신차이던 아니던 안전운전의 필수는 3급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3급의 뜻은 급출발, 급가속, 급정거를 말합니다.
갑작스런 출발이나 속도를 내고자 하는 급가속, 갑작스런 급정거는 부품이 아무리 좋아도 마모되는 시간을 줄입니다.
신차 길들이기가 끝났다고는 해도 어차피 3급은 안전운전을 하는데 필수입니다.
rpm은 낮게
자동차 메뉴얼이나 인터넷 등을 찾아보면 4000rpm 이하를 유지하라고 합니다.
자동차를 어느정도 몰아보고 안전운전을 준수한 사람들이 하는 얘기가 하나 있습니다.
보통 100km 정도 되면 rpm 은 2500rpm~3000rpm 정도 된다고 합니다.
자동차마다 차이는 있지만 조용한 정속주행을 하면서 시원하게 주행하는 구간은 보통
80km~100km 정도라고 합니다.
4000rpm은 어느정도 고rpm의 엔진회전력을 가리키는 구간입니다.
즉, 필요이상의 속도를 내지 말고, 엔진에 무리를 주지 말라는 얘기와 같습니다.
필요이상의 고회전력은 엔진오일에도 영향이 있고 엔진에도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길들이기는 언제까지
그렇다면 신차 길들이기는 언제까지 하는 것이 좋을까
궁금증이 많거나 신경이 쓰이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출퇴근용이라면 굳이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되는 부분입니다.
먼저 자신이 구입한 자동차의 메뉴얼을 찾아봅시다.
최초 1000km 전까지는 자동차의 성능에 있기 때문에 급출발, 급가속, 급정거는 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잇습니다.
신차길들이기는 자동차 특성과도 관계가 있지만 직접적으로 개개인의 운전습관에도 연관이 있습니다.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보통 6000km 이상 주행 후에 자동차의 성능은 안정된다고 하니 편안하게 운전하면 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Car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후진 경고음 후방감지기 소리별 거리 경고음이 빠를 수록 가깝다. (0) | 2022.03.14 |
---|---|
차대번호란 자동차의 고유번호 사람의 주민번호와 같은 것 (0) | 2022.03.14 |
내비게이션 업데이트 sd 카드 위치 찾기 센터페시아에서 SD MAP을 찾아보자 (0) | 2022.03.10 |
PC에서 기아자동차 네비게이션 업데이트 방법 현대자동차와 똑같네 (0) | 2022.03.07 |
초보운전 스티커 언제까지 붙여야 되는 건가 딱히 기간은 없어요 (0) | 2022.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