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시동을 켜면 느낌표가 나타났다 사라집니다. 하지만, 가끔은 느낌표가 사라지지 않고 계속 나타납니다. 노란색이면 걱정이 덜하지만 빨간색이면 마음 설레이게 불안합니다. 맞습니다. 빨간색은 카센타 가야 합니다. 일반적인 느낌표는 3가지 종류가 있지만 전기차나 수소차 등의 자동차 종류가 늘어나면서 느낌표의 종류도 많아지고 있기도 합니다.
계기판 느낌표 표시 종류
불안하게 느낌표 모르겠으면 보험사
시동을 켜면 자동차는 점검을 혼자서 이것저것 점검을 합니다.
이 때 계기판은 화려한 색깔로 반짝반짝 거리다가 꺼지고 시동이 꺼집니다.
하지만, 가끔 불안하게 느낌표가 종류별로 켜져 있습니다.
어떤 것은 빨간색, 어떤 것은 노란색 입니다.
불안합니다.
메뉴얼을 뒤져보지만 어디에 있는지 찾이 어렵습니다.
불안한 마음은 나타납니다. 맞습니다. 불안해야 정상입니다.
느낌표인데 색깔이 틀리다.
같은 느낌표라도 모양도 틀리고, 색깔도 틀립니다.
먼저 색깔부터 파악해 봅니다.
노란색과 빨간색이 보입니다.
이것부터 알고 판단해 봅시다.
- 노란색 : 주의
자동차 주행에 당장 문제는 없으나 가급적 카센타 등에서 점검이 필요 - 빨간색 : 위험
자동차 주행에 당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카센타 등에서 점검 및 수리 필요
느낌표 종류
색깔의 의미도 알았고, 이제는 그 느낌표 모양이 나타내는 의미가 궁금합니다.
대체 이것들은 뭔데 내 마음을 이리도 흔들고 설레게 하는가.
이 중에 하나라도 있다면 일단 점검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느낌표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통합경고등 ( 노란색 )
- 브레이크 경고등 ( 빨간색 )
-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 노란색 )
계기판 느낌표 뜻
위의 3가지는 대표적으로 자주 보는 것들이기도 하고 자동차의 주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이 발생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물론, 수시로 눈으로 확인하는 부분이기도 하겠지만 말이다.
통합경고등 ( 노란색 )
자동차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른 경고등과 함께 나타난다.
구체적인 원인은 계기판의 경고등을 확인한 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브레이크 경고등 ( 빨간색 )
브레이크 계통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나타난다.
브레이크액에 부족해서 나타날 수 있고, 브레이크 패드에 문제가 있어 나타날 수 있다.
자동차가 멈출 수 없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빨간색인 위험신호를 나타낸다.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 노란색 )
타이어의 공기압이 적어 나타나는 경고등이다.
바람이 빠져도 운행이 어느정도 가능하긴 하다.
이래저래 힘들겠지만 말이다.
비상등 켜고 가까운 카센타가서 타이어 점검을 받고 수리하는 것이 좋다.
'Car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어 공기압 적정 범위 찾는 방법 고민하지 말고 문을 열자 (0) | 2022.02.21 |
---|---|
일상 자동차 점검 소중이 내 차 일주일 한번 일상점검하기 (0) | 2022.02.21 |
패들 쉬프트 사용방법 있으면 재미있고 없으면 아쉬운 그것 (0) | 2022.02.20 |
양발운전 위험한 이유 왼발은 거들 뿐이지만 다 이유가 있다. (0) | 2022.02.19 |
주유구 위치 찾기 헤매지 말고 계기판을 보자 (0) | 2022.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