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는 안전과 직결되기 떄문에 시동 전 후에 따라 브레이크 검사를 수시로 할 수 있다. 브레이크 오일, 브레이크 부스터 압력을 검사할 수 있는데 이것을 다이어프램 테스트라고 한다. 시동전에는 브레이크 부압이 없기 때문에 브레이크 상태가 딱딱하다. 시동후에는 브레이크 부압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상태가 부드럽다.
시동 전 후 브레이크 검사
다이어프램 테스트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 브레이크를 밟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최소한의 안전지침이기도 하며, 자동차가 갑자기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지금의 자동차들은 브레이크를 밟지 않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최소한의 안전을 위해 시동을 걸기 전에는 브레이크를 밟으라고 한다.
헌데, 여기서 느낌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브레이크가 잠기는 현상을 겪게 될 수 있다.
브레이크가 잠겼지만 시동을 걸면 다시금 브레이크가 쑤욱 들어간다.
이것을 가지고 자동차에 문제가 있다 없다 하며 정비소에 가는 분들도 있지만 정상일 가능성이 높다.
자동차의 브레이크 부스터 압력에 의한 현상이기도 한데, 이것으로 브레이크를 검사할 수도 있다.
브레이크 원리
자동차를 수시로 검사하는 분들은 브레이크오일이 충분한지 수시로 검사한다.
브레이크오일에서 느낌이 올 것이다.
유압식이란 것이다.
브레이크는 오일이 각 호스마다 꽉차 있는 상태에서 오일을 밀어 브레이크가 작동하게 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오일을 밀어 브레이크에 압력을 가한다.
브레이크 부스터
시동이 걸리면 각 자동차의 전기장치가 작동하면서 부스터가 작동한다.
핸들은 파워스티어링이 작동하여 한손으로도 쉽게 핸들을 돌릴 수 있도록 해준다.
부스터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딱딱하게 잠긴 것 처럼 느껴지는 것이 이 때문이다.
시동이 걸리면 부스터가 작동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또한 쉽게 밟을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시동 전에 브레이크를 밟았을 때 브레이크가 잠긴 것처럼 딱딱한 느낌이 든다면 부스터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이며, 부스터 압력이 없기 떄문에 그럴 수 있다.
정상이란 것이다.
( 그럼에도 이상하면 정비소에서 점검을 받도록 하자. 친절하게 물어보면 친절하게 답해 준다.)
다이어프램 테스트
다이어프램은 유압 또는 공기압을 바꾸는 장치를 말하고, 다이터프램 테스트는 이런 공기압, 유압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자동차 브레이크는 유압식이기 때문에 다이어프램 테스트로 브레이크 검사를 할 수 있다.
유튜브는 정말 좋은 곳이다.
정말 좋은 자료가 있어 공유해 본다.
자신의 자동차에 대해 브레이크 테스트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본인 또한 가끔 이런 테스트를 하고 있었지만 유튜브에 내용을 공유해 준 분은 이 분이 최초가 아닐까 한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시동 전
- 시동을 끈다.
- 브레이크를 여러 번 밟는다.
- 브레이크가 딱딱해 진다. ( 부스터 압력 없음 )
- 정상
- 시동 후
- 시동을 켠다.
- 브레이크가 쑤욱 들어간다 ( 부스터 압력 생김 )
- 정상
- 시동 끄기
- 브레이크를 반쯤 밟는다.
- 시동을 끈다.
- 브레이크 상태가 유지가 된다.
- 정상
- 만약 브레이크를 반쯤 밟은 상태에서 시동을 껏을 때
브레이크가 쑤욱 들어가거나 밀고 올라오는 상태가 심한 경우 정비소를 가서 점검을 받을 필요가 있다.
브레이크 유압에 이상이 생겼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래는 브레이크 부스터 압력을 검사하는 방법을 영상으로 친절하게 설명해 준 영상이다.
'Car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동 버튼 엔진 스타트 버튼 사용 방법 (0) | 2022.02.24 |
---|---|
연비 계산법 연비는 주행거리 나누기 사용연료량 (0) | 2022.02.24 |
펑크 난 타이어 지렁이 사용방법 펑크실로 타이어 떼우기 (0) | 2022.02.23 |
타이어 공기압 적정 범위 찾는 방법 고민하지 말고 문을 열자 (0) | 2022.02.21 |
일상 자동차 점검 소중이 내 차 일주일 한번 일상점검하기 (0) | 2022.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