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Info

연비 계산법 연비는 주행거리 나누기 사용연료량

by CarBloG 2022. 2. 24.
반응형

자동차를 샀지만 자신의 자동차의 연비가 은근히 신경이 쓰인다. 공인연비만큼 효율이 나오지 않을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계기판의 평균연비를 보면 또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직접 계산을 해 보도록 하자. 연비 계산공식은 총 주행거리를 연료소모량으로 나누면 알 수 있다. 하지만 계산식으로 직접 계산한 값은 어디까지나 추정치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어쨌거나 공식은 알아두면 좋을 듯 싶다.

연비 계산법
연비는 주행거리 나누기 사용연료량

전기차나 하이브리드차가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여전히 내연기관인 엔진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많다.

자동차 가격이 한두푼도 아니고 바꾸고 싶어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금 가지고 있는 자동차 유지비라도 줄여보는 것이 좋은데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이 있는것이 연비이기도 하다.

연비를 늘리면 기름값을 어느정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연비 계산법을 알면 조금은 실마리가 잡힐 수 있다.

연비란

먼저 연비가 무엇인지 찾아보도록 하자.

연비란 단어는 한자로는 燃費 영어로는 fuel efficiency 를 뜻한다.

연비 뜻은 자동차가 단위 주행 거리 또는 단위 시간당 소비한 연료의 양을 뜻한다.

태워 소비하는 양, 또는 연료 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는 km/L 이다.

이미 단위에서 정보는 나왔다.

같은 양의 연료를 소비했을 때 자동차가 얼마나 먼 거리를 갔는지를 보는 것이 연비이다.

연비 계산법

공식으로 표현해 보도록 하자.

이미 언급한 것처럼 단위에서 모든 것이 나왔다.

연비 단위는 km/L 이다.

즉 1L 당 자동차가 몇 km 를 갔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공식은 다음과 같다.

연비 = 총 주행거리 / 총 사용연료량

연비를 높이려면 어떻게 할까

계산식으로 보자.

연비를 높이려면 주행거리 수치가 크면 되고, 연료량 수치는 작으면 된다.

그럼, 자연스럽게 연비는 올라가게 된다.

수학적 계산으로는 당연한 것이지만 실제로는 이것이 어려울 수 있다.

자동차 연비는 다른 것을 떠나서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평소에 급정거, 급가속이 심하다면, 또는 속도를 빨리 내는 사람의 자동차라면 당연히 연비는 줄어든다.

연비를 높이는 방법은 이미 찾아보면 많이 나와 있기도 하다.

자동차의 무게를 줄인다.

급정거, 급가속을 피한다.

관성을 이용한 연비주행을 한다. 등등

이미 공식적인 자료부터 개인의 경험에 따른 것까지 많은 자료는 검색하면 나와있다.

공인연비는 뻥연비일까

자동차를 구입하면 공인연비를 표시하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거기에 나온 등급이 바로 자신의 자동차의 공인연비이다.

하지만, 이 수치는 시험기관에서 검사한 수치이기 때문에 실제 운전자의 운전습과과 차이가 클수도 작을 수도 있다.

이 공인연비 스티커에 표시된 수치가 뻥연비라고 불린 이유가 실험실에서 테스트한 기록이기 때문에 실제 도로에서 운전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실제 연비보다 더 효율좋게 나올 수 있다.

그렇기에 어디까지나 참고사항일 뿐이다.

어떤 분들은 공인연비 스티커보다 더 효율적인 연비를 자랑하는 분들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