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의 나들목과 분기점은 각각 IC 와 JC 로 표기한다. 나들목은 고속도로와 일반국도를 연결한 곳을 말하고, 분기점은 고속도로와 고속도로를 연결한 곳을 말한다. 운전자의 나들목과 분기점의 진입을 놓친 경우 당혹감에 차를 멈추는 경우가 있는데 상당히 위험하다. 고속도로에서 나들목과 분기점을 지나쳤다면 다음에 나올 나들목에서 국도로 벗어난 후 유턴하여 다시 고속도로로 진입하면 된다.
고속도로 나들목 분기점 차이
진입 IC 분기 JC
자동차를 이용해 다른 지방으로 이동할 때 지도를 보거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다.
교통방송의 라디오를 이용하는 경우들도 있지만 대부분 네비게이션에 의존할 것이다.
무엇이 되었든 안내를 하는 멘트를 듣다보면 나들목과 분기점에 대한 안내가 나온다.
일단 자동차가 들어가고 나오는 구간이란 건 알겠다.
다만, 목적의 차이가 있으니 다른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라는 건 알겠다.
결론부터 말하면 다음과 같다.
나들목은 고속도로와 일반도로를 연결하는 진입구간이다.
분기점은 고속도로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분기구간이다.
나들목 IC 분기점 JC
고속도로 표지판을 보더라도 어떤 명칭과 함께 뒤에는 IC 또는 JC 란 단어가 붙어있기도 하다.
잘은 모르겠지만 네비게이션이 진입하라고 얘기하면 진입한다.
IC 는 Inter-Change 의 약자로 진입로를 말하며 나들목을 의미한다.
JC 는 Junction 의 약자로 분기점을 말한다.
즉, 나들목은 IC, 분기점은 JC 라 표기를 한다.
그럼 나들목과 분기점의 차이는 무엇일지 궁금해 진다.
나들목은 고속도로와 일반도로가 연결된 곳으로 서로간의 진입과 출입을 할 수 있는 곳을 말한다.
분기점은 고속도로와 고속도로가 연결된 곳으로 고속도로간의 진입과 출일을 할 수 있는 곳을 말한다.
고속도로를 옮겨탈 수 있다.
실수로 지나쳤다. 일단 그냥 가자
나들목과 분기점의 경우 운전자의 실수로 진입을 놓치는 경우들이 자주 발생한다.
운전을 많이 한 사람들이라면 그냥 지나친 후 다음에 나올 톨게이트나 나들목을 이용하여 유턴하여 다시 고속도로에 진입할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고속도로에서 무리하게 나들목이나 분기점에 진입하려고 하거나 차를 세우는 경우들이 있다.
상당히 위험하고 뒤에서 오는 자동차들이 있는 경우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진다.
인터넷에 공개되는 영상에도 나들목 사고, 분기점 사고로 많이 있는데 보통 이곳을 지나친 후 아차 하는 심정으로 자동차를 세우는 경우에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만약, 진입로를 벗어났다면 일단 지나친 후 다음에 나올 나들목을 찾아 일반도로로 벗어난 후 유턴하여 다시 고속도로에 진입하도록 하자.
또는 쉼터나 휴게소 등에 들러 네비게이션을 다시 확인한 후 나들목에서 국도로 벗어난 후 유턴하여 다시 고소도로로 진입하도록 한다.
네비게이션을 믿자.
나들목과 분기점을 벗어나더라도 유턴할 수 있는 장소를 다시 알려준다.
'Car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물차 판스프링 사고에 따른 단속과 의무조치 (0) | 2022.08.15 |
---|---|
자동차 침수 단계 3가지 타이어 기준 절반 이하일 때 안전한 곳으로 이동 (0) | 2022.08.13 |
안전지대 도로 위의 빗금 주정차 불가 구역 (0) | 2022.08.05 |
가변차로 녹색 화살표가 보인다면 차선 이용 가능 (0) | 2022.08.03 |
자동차 전압 확인 방법 시동 전 12V 시동 후 14V (0) | 2022.08.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