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Info

4색 신호등 보는 법 교통신호 색깔 의미 파악하기

by CarBloG 2021. 10. 8.
반응형

도로 주변에 대체로 많은 것이 4색 신호등이다. 4색신호등이라고 해도 3가지 색깔에 2가지 모양이 있을 뿐이다. 점멸되는 순서도 도로마다 다르다. 다 같다고 생각이 되어 함부로 진입하면 다른 차선에 오던 차량과 사고날 수 있다. 신호가 바뀐 후 정확히 판단하고 출발하는 것도 늦지 않다.

4색 신호등 보는 법
교통신호 색깔 의미 파악하기

4색 신호등의 순서는 도로마다 거의 비슷하지만 다른 곳도 있다.

직진과 좌회전이 동시신호를 나타내는 곳이 있고, 따로 따로 나타나는 곳이 있다.

어떤 곳은 황색신호만이 점멸한다.

또 어떤 곳은 비보호 병행표기이다.

이런 신호를 잘못 이해하면 불편한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3가지 색깔 2가지 모양

4색 신호등의 색깔은 3가지이고, 2가지 모양을 가진다.

색깔은 적색, 황색, 녹색이다.

모양은 원모양과 화살표가 있다.

화살표는 보통 좌회전 신호가 많다.

우리가 알고 있는 색상의 의미는 이렇다.

  • 적색 : 정지
  • 황색 : 주의
  • 녹색 : 진행

색상 모양 의미는 다르다.

위에 언급한 대로 색상의 의미는 어렵지 않다.

적색이 나타나면 정지한다.

황색이 나타나면 주의하고 경계한다.

녹색이 나타나면 진행을 한다.

화살표가 나타나면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하면 된다.

쉽다. 어렵지 않다.

하지만, 가장 난해한 것이 황색이다.

움직이고 있는 자동차를 세울 수도 진행할 수도 없는 딜레마가 생기는 표시이다.

주의와 경계를 나타내는 황색신호는 보통 속도를 줄이는 것이 좋다.

보통 황색신호에 속도를 더 높이는 분들이 많다.

다른 방향에서 보는 신호 또한 황색이며 출발을 준비하는 사람들도 많다.

신호등이 있는 일반 공공도로에서 속도를 줄이고 천천히 주행하라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황색신호 점멸시 서로 빨리 가려는 욕심이 있기 때문에 충돌의 위험이 있다.  

비보호 좌회전 병행표기 조심

4색 신호등에는 화살표가 있다.

보통 좌회전 신호를 표시한다.

이 신호가 켜지면 좌회전 하면 된다.

좌회전 신호는 직진신호와 같이 켜지는 동시신호가 있을 수 있고 따로따로 켜지는 신호등이 있을 수 있다.

추가로 최근에는 비보호좌회전 또한 허용하기도 한다.

좌회전 신호일 경우 차선을 반드시 지키고 좌회전시 유도선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비보호 좌회전 병행일 경우 직진신호시 좌회전할 수 있지만 말그래도 보호를 받지 못한다.

좌회전 신호시 좌회전을 하는 경우는 얘기가 또 달라질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