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등은 전조등으로 부족한 시야 확보를 도와준다. 안개낀날, 흐린날 또는 어두운 날 등 전조등을 켜도 부족한 전방의 시야확보를 도와준다. 엄연히 전조등의 보조적 역할을 하지만, 안개등의 특성은 빛을 확산시키기 때문에 밝은 대낮에 켜두면 다른 자동차들에 방해가 될 수 있기에 가급적 대낮에 안개등은 꺼두고 다니도록 하자. 또한 LED 안개등으로 교체하고 싶다면 인증된 제품을 사용하도록 하자.
자동차 안개등 목적과 켜는 법
흐린날 시야 확보, 밝은 대낮엔 안개등은 꺼두자
자동차의 모든 불이 켜지는 것을 등화라 칭한다.
그 중 계륵같은 기능 하나가 있는데 그것은 안개등이다.
단어 그대로 도로 주변에 안개가 심할 경우 유용하고, 비슷한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안개등이 굳이 필요하다고 느끼분 분들 있다.
안개등은 특별히 야간 주행을 위한 라이트보다 밝은 경우도 있지만, 주요 목적은 도로 주변에 있는 자동차들이 잘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서로간에 식별을 위해 존재한다.
전조등과 미등만 있어도 충분하다고 하는 분들 있지만,
안개등의 용도는 자동차가 생긴 이래 지금까지 꾸준히 장착되었다.
그만큼 나름대로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계륵같은 존재 안개등의 목적
안개등을 굳이 계륵이라 표현한 이유는 안개낀 날 또는 흐린 날 또는 전조등의 보조적 역할 등에 사용하기 위함이다.
시골길이나 자동차들이 잘 다니지 않는 곳은 도로 자체도 어둡거니와 전조등만으로 시야 확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안개등과 함께 사용하면 시야 확보가 향상된다.
자동차에 관한 과거의 어떤 기사를 찾아보면 해외 사례를 예로 들며 안개등을 주간주행등(DRL) 처럼 사용하도록 하는 내용이 있다.
그 때는 지금처럼 주간주행등이란 것도 없었을 뿐더러, 지금보다 교통사고는 더할나위없이 높았다.
낮에도 안개등을 켜고 다니면 서로간의 피아식별이 되기 때문에 최소한 자동차끼리의 사고는 줄어들 것이란 생각이었을 것이다.
참고로 당시 오토바이들은 안개등 또는 전조등을 수시로 켜고 다니기도 했다.
오토바이 운전자가 아무리 방어운전, 안전운전 하더라도, 자동차는 오토바이이를 치고 도망치거나 또는 모르쇠로 일관하는 경우들이 많았다.
작은 스쿠터의 경우 자동차 운전자가 못봤다고 우기면 답도 없기도 했다.
지금이야 오토바이용 블랙박스가 널리 퍼졌기에 과거보단 많이 줄어들었다.
주간주행등이 보편화된 지금은 안개등을 낮에도 굳이 켜지 않아도 되며, 자동차를 어느정도 아는 사람들도 많이 늘어났기 때문에 안개등을 굳이 켜고 다니진 않는다.
지금의 자동차들은 과거와 다르게 기술이 좋아진 이유도 있지만, 안개등이 오히려 낮에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기도 하다.
이것은 안개등의 특성 때문인데, 주변의 시야가 잘 보이지 않을 때는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지만, 밝은 낮에는 오히려 주변 자동차에 방해가 된다.
하지만, 안개등의 공통점이 있다면, 최소한 자신의 위치를 다른 자동차에 인지시키는 것은 아주 좋다.
낮에는 위험할 수 있는 안개등 특성
전조등을 켰음에도 시야가 잘 보이지 않을 때 안개등은 꽤나 유용하다.
하지만, 안개등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면 낮에는 위험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으며, 안개등을 수시로 켜고 다니는 자동차를 뒤따라는 자동차는 오히려 시야가 나쁠 수 있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안개등의 특성 때문이다.
전조등은 야간 또는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빛은 퍼지지 않고 전방을 향한다.
안개등은 전조등과는 다르다. 안개등은 전조등보다 빛의 강도는 낮지만 빛이 퍼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렇기에 밝은 대낮에 안개등을 켜는 것은 다른 자동차들의 시야를 오히려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고, 자칫 위험해 질 수도 있다.
자동차를 전문으로 하는 커뮤니티의 게시물을 보면 이런 글들이 보인다.
제발 대낮에 안개등 켜고 다니지 말자라고 말이다.
자료를 찾아보면 이미 오래전부터 대낮에는 안개등을 켜지 않는 것을 언론에서도 언급한 것을 알 수 있다.
LED 안개등 불법 여부
지금의 자동차에 안개등은 전구가 아닌 LED가 설치된 경우들이 있다.
LED는 일반적인 전구보다는 굉장히 밝다. 색상 또한 다양하다.
그렇기 때문일까.
튜닝을 즐기는 분들의 경우 안개등을 LED로 교체하는 사람들이 있다.
자동차 튜닝의 경우 법적으로 등화와 관련된 부분은 불법이지만, 과거에 비해 조금은 완화되었다.
이건 또 무슨 얘기다.
자동차는 출고시 전조등 또는 안개등과 같은 모든 등화류는 안전을 위해 각도를 조절해 나온다.
시야를 확보하되, 다른 자동차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LED 안개등 또한 불법으로 규정되어 있지만, 지금의 경우 순정상태의 자기인증된 제품이라면 승인과정이 면제된다.
만약, 자신이 자동차에 안개등을 LED로 변경하고 싶다면 최소한 자기인증된 제품인지 확인해 보도록 하자.
안개등 켜고 끄는 법
일단 안개등이 어떤 표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 필요가 있다.
거의 사용하지 않기도 하기에 잘 모를 수도 있지만, 핸들 뒤에 붙은 레버를 잘 살펴보면 안개등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다.
자동차마다 안개등을 켜고 끄는 것은 조금 불편한 감이 있다.
버튼의 생김새는 자동차마다 다르지만 안개등을 표시하는 아이콘은 모두 같은 모양이다.
안개등은 어던 것은 버튼식이며, 어떤 것은 다이얼식이다.
일단 자신의 자동차에 있는 안개등의 버튼이 어떻게 생겼는지 살펴보자.
다른 버튼과는 다르게 ON / OFF 가 명확히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안개등을 켜고 끄는 것이 어렵지 않을 것이다.
일단 안개등의 작동방식을 알았다면
안개 또는 흐린날 전조등으로 부족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낮에 안개등을 켜고 다니는 일은 없도록 하자.
'Car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화점 마트 쇼핑 카트 주차장 이용 방법 나름의 법도가 존재하는 곳 (0) | 2024.08.12 |
---|---|
자동차 주차와 정차 도로에 그려진 노면표시 4가지를 보자. (0) | 2024.07.30 |
블랙박스 qhd fhd 차이 한 화면에 표현할 수 있는 픽셀수 (1) | 2024.07.21 |
추월하다 영어표현 pass와 overtake 뜻과 차이 (1) | 2024.05.31 |
mf 고스트 애니 정보 이니셜D 20년 이후 이야기 (0) | 2024.05.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