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Info

HEV 와 PHEV 차이 구동방식에 따른 배터리 충전 필요

by CarBloG 2021. 9. 25.
반응형

친환경 전기차에 관심이 높다. 그러나 순수한 전기차보다는 아직은 내연기관인 엔진이 필요한 세상이기도 하다. 그에 따라 HEV 자동차와 PHEV 자동차의 관심도 높다. 전기모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연료절감의 효과와 유류비 절감의 효과를 볼 수 있기도 하기 때문이다.

 

HEV 와 PHEV 차이
구동방식에 따른 배터리 충전 필요

HEV나 PHEV의 극명한 차이는 배터리 충전에 있다.

이게 무슨 말일까.

HEV란 단어가 들어간 시점부터 이 둘의 차이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공통점이 있다

내연기관인 엔진과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모터가 있어 둘의 힘이 서로 분배되어 자동차는 움직인다.

PHEV의 장점이 여기있기도 하지만, 불편한 점이 있다.

PHEV는 전기모터만을 사용하여 자동차를 움직일 수 있다.

그렇기에 추후 배터리를 충전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공통점

HEV나 PHEV나 같은 하이브라이 자동차이다.

공통점은 단순하다.

HEV나 PHEV나 구성요소는 같다.

내연기관인 엔진이 있다.

전기모터를 사용하고 이를 위해 배터리가 필요하다.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차가 움직이는 것은 같다.

하지만 PHEV는 전기충전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 P는 Plugin의 약자로 별도의 충전기를 의미한다.

 

HEV 감속시 배터리 충전

HEV란 Hybrid Electric Vehicle 의 약자이다.

내연기관인 엔진과 배터리가 필요한 전기모터를 사용한다.

구동방식에서 감속시 회생제동시스템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별도의 충전은 필요없다.

단지 엔진을 움직일 화석연료인 가솔린은 필요하다.

  1. 출발/저속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모터만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움직인다.
  2. 가속/등판
    내연기관 엔진과 전기모터를 동시에 사용되어 자동차가 움직인다.
  3. 정속주행
    엔진 또는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차가 움직인다.
  4. 감속/제동
    회생제동시스템으로 감속을 위해 제동시 배터리가 충전된다.

출처 : 현대자동차

PHEV란 외부 충전 필요

PHEV란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의 약자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라는 점에서 HEV와 같지만 Plugin인 외부충전이 필요하다.

PHEV 자동차는 HEV 자동차에 오롯이 전기차 기능을 추가한 것이기도 하다.

무슨 말이냐

HEV 가 정속주행이나 가속/등판시 엔진과 전기모터를 같이 사용한다면
PHEV는 정속주행이나 가속/등판시 오롯이 전기모터만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감속/제동시 별도의 충전을 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외부충전이 필요하다.

  1. 출발/저속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모터만을 이용하여 자동차가 움직인다.
  2. 가속/등판
    내연기관 엔진과 전기모터를 동시에 사용되어 자동차가 움직인다.
  3. 정속주행
    엔진 또는 전기모터를 사용하여 자동차가 움직인다.
  4. 감속/제동
    전기차 모드 : 전기만을 사용, 배터리 충전을 하지 않는다.
    하이브리드 모드 : 감속을 위해 제동시 배터리가 충전된다.

 

유물이 될지도 모를 것들

현대자동차는 향후 2025년까지 내연기관을 없애기로 결정한 바 있다.

다른 자동차회사들 또한 전기차와 수소차에 투자를 하고 내연기관을 이용한 자동차의 생산을 줄이고 있다.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향후 중고차 시장에 남아있는 내연기관 자동차들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기차 또는 수소차가 될 가능성으 크다.

내연기관 특유의 엔진소리가 먼 미래에는 그리워질 수 있겠지만, 아마 이 특수성 때문에 일부 중고차의 가격은 높아질 것 같은 생각은 든다.

특수성을 제외하면 중고차 시장의 가격변동은 음~

정확한 것은 그 때가 되어봐야 알 것 같다.

어쨌든 내연기관인 엔진이 점차 사라지고 있으니 HEV나 PHEV 또한 영향을 받고 점차 줄어들 것이란 것은 예상할 수 잇다.

반응형

댓글